728x90 반응형 SMALL SQL Languages/SQL 2021. 3. 10. [SQL] 6. 검색 조건 0. 검색 조건 지정하기 데이터 검색에는 열을 지정하는 방법과 행을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조건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검색해보자.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많은 행이 있을 것이다. 화면에 표시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한번에 볼 수 있는 데이터 양은 한정적이다. 화면에 표시할 때는 행이나 열을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WHERE 구와 SELECT 구를 통해 검색 조건을 지정한다. SELECT 열1, 열2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1. SELECT로 열 지정하기 앞서 SELECT를 사용할 때는 *를 사용해서 테이블의 모든 열을 검색했다. 열을 한정하기 위해 *대신 열명을 지정한다. SELCET 열1,열2... FROM 테이블명 열은 콤마를 통해 구분.. Languages/SQL 2021. 3. 2. [SQL] 5. 테이블 구조 참조하기 0. 테이블 구조 참조하기 DESC명령을 통해 테이블 구조를 참조해보자. SELECT 명령으로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테이블은 한 개 이상의 열로 구성된다. 열을 지정하여 조건을 붙이거나 특정 열의 값을 읽어올 수 있다. 테이블에 어떤 열이 있는지 참조할 수 있다면 SELECT 명령을 작성하기 쉬워진다. 1. DESC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DESC sample21; DESC를 통해 테이블에 어떤 열이 정의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맨 앞의 Field에는 열 이름이 표시되면 Type은 해당 열의 자료형을 나타낸다. 괄호안의 숫자는 최대 길이를 나타낸다. Null은 NULL값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제약사항으로 Yes로 지정하면 NULL값을 허용한다. K.. Languages/SQL 2021. 2. 22. [SQL] 4. SELECT * FROM 테이블명 0. SELECT * FROM 테이블명 이제부터는 실제로 SQL 명령을 실행하면서 배워보자. 우선은 SQL 명령의 HELLO WORLD라 할 수 있는 SELCET * FROM 테이블명을 실행해보자. SELECT * FROM 테이블명 1. 'SELECT * FROM 테이블명' 실행 SQL 명령은 mysql 클라이언트에 문자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mysql 클라이언트를 명령 프롬프트에서 실행한다. SELECT와 * 그리고 FROM 사이에는 스페이스를 넣어 구분한다. FROM과 sample21 사이에도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입력이 끝나면 마지막에 ;을 넣고 엔터 키를 누른다. 엔터 키를 누르면 입력한 SQL 명령이 서버에 전달되며 서버는 이를 실행한 후 결과를 반환한다. 2. SELECT 명령 구문 H.. Languages/SQL 2021. 2. 15. [SQL] 3. 데이터베이스 서버 0. 데이터베이스 서버 많은 RDBMS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채택해 가동 중이다. 특히 웹 시스템과 연동하는 RDBMS라면 접속자 수가 수백 명에 달하는 전용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자주 운용한다.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관점으로 바라보며 생각해보자. RDBMS는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보내오는 요청에 응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 요청이나 SQL 명령 실행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서버는 이를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 그 결과를 반환한다. 1.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요청을 전달하는 클라이언트와 해당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서버로 소프트웨어를 나누고 복수의 컴퓨터 상에서 하나의 모델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Languages/SQL 2021. 2. 9. [SQL] 2.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 0. 여러 종류의 DBMS DBMS의 종류와 그중 하나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자. DBMS는 여러 종류가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용도나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맞는 DBMS가 고안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SQL로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1. 데이터베이스 종류 DBMS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오래된 DBMS로 폴더와 파일 등의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이다. 하드디스크나 파일 시스템이 그러하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 대수에 착한하여 고안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행과 열을 가지는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다. 표 형식 데이터란 2차원 .. Languages/SQL 2021. 2. 7. [SQL] 1. 데이터베이스 0.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란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컴퓨터 안에 기록된 모든 것이 데이터 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해야 한다. 1. 시스템 안에 있는 데이터 베이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센터의 서버에서 운용했다. 하지만 현재는 데이터베이스가 개인 컴퓨터나 기기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부처럼 말이다. 2. DB와 DBMS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DB라는 약자로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저장장치 내에 정리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이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SMALL